교육학개론 |
교육학을 총체적으로 접근할 뿐만 아니라 교육학의 세부 분야인 교육철학, 교육심리학, 교육사회학, 교육공학, 교육행정 등에 대한 개요와 최근 동향에 관해 탐색한다. |
청소년교육론 |
청소년 교육의 기초로 평생교육에서 청소년교육에 대한 고찰과 청소년학의 개념 및 특성, 중요성, 한국 청소년 연구에 대해 살펴본다. 더불어 청소년 교육의 과정으로 청소년지도자에 대한 역할과 자질에 대한 논의, 청소년 프로그램에 대한 특성과 절차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. |
평생교육론 |
평생학습사회에서 평생교육은 학교중심교육과 다른 새로운 교육패러다임을 지향하며 학습자들에게 생애 단계에 적절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. 따라서 본 교과목을 통해 평생교육의 시대적 배경과 변화방향 그리고 쟁점을 파악하여 평생교육의 미래를 조망해 볼 수 있다. 또한 평생교육의 영역과 대상 그리고 실태를 살펴봄으로써 학교교육체제의 다음 시대를 준비하고 만들어가는 새로운 교육으로 평생교육의 의미를 고찰해 볼 수 있다. |
시민교육론 |
우리나라 시민교육은 광복이후 정규적인 학교교육을 받지 못한 청소년, 성인들을 위한 공민교육 형태로 시작되었으나 오늘날은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학교교육을 포함하여 가정교육, 사회교육, 성인교육, 청소년교육, 노인교육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. 급변하는 사회에서 시민에게 요구되는 사회적·정치적·도덕적·지적 능력과 덕목을 함양하고 나아가 훌륭한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기르는 데 목적이 있다. |
진로지도Ⅰ |
학생들에게 진로, 학사, 대학생활, 인성, 고충처리, 취업 등에 관한 지도를 효율적으로 시행함으로써 면학분위기를 향상하여 취업증진에 기여하고 졸업 후에도 추수지도를 통하여 사제간의 긴밀한 협조관계를 유지케 하는 교과목입니다. |